-
[Ubuntu] 윈도우 10에서 우분투 듀얼부팅 하기(멀티부팅) - 2CSE/Ubuntu 2016. 1. 9. 17:21
윈도우 10에서 우분투 듀얼부팅 하기(멀티부팅) - 1
윈도우 10에서 우분투 듀얼부팅 하기(멀티부팅) - 2
이전 포스팅을 통해서 준비과정을 모두 마치셨다면,
이번 포스팅에서는 BIOS에서 우분투 USB boot 인식 및 설치를 진행하도록 하겠습니다.
1. USB를 꽂은 체로 PC 또는 노트북의 전원을 킵니다.
바로 BIOS에 진입할 수 있게 각 제조사 별 BIOS 진입 키를 눌러서 진입해주세요.
진입하셔서 Boot 탭에서 Boot Device Priority 엔터
2. Boot Option #1 에 보시면 Windows로 잡혀있습니다.
해당 부분을 엔터하셔서 USB 이름으로 된 부분을 설정하여 줍니다.
바로 이렇게 말이죠.
3. 저장 후 종료 합니다.
4. 그러면 자동적으로 우분투 GRUB으로 넘어갑니다.
맨 상단의 Try Ubuntu without installing 엔터
5. 설치없이 우분투 환경을 사용해 볼 수 있습니다.
여기서 진행하는 이유는 인터넷으로 찾아보면서 진행 할 수 있기 때문이죠.
6. 바탕화면의 'Install Ubuntu 14.04.3 LTS' 를 실행시킵니다.
7. 초기 언어는 '한국어'로 설정
8. 별 무리없이 계속 클릭
9. '설치 형식'에서 '기타'를 선택 후 계속
10. 윈도우에서 파티션 분할해둔 남은 공간을 확인 하세요.
위 공간을 선택 하신 후, + 버튼을 클릭합니다.
11. 먼저, Swap 영역을 만듭니다.
Swap 영역은 윈도우의 가상 메모리 부분이라고 보시면 됩니다.
대략적으로 모르시는 분들은 기존 PC의 RAM 정도 혹은 배수로 설정해주세요.
(ex: 4GB RAM 이면 4096 MB)
12. / 영역을 생성합니다.
아래 그림과 같이 설정하는데,
크기에 유의해서 설정합니다.
13. /home 영역을 생성합니다.
14. 아래와 같이 영역이 생성됨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.
swap
/
/home
각각 생성됨을 확인하고, 지금 설치(I)를 클릭
이제부터 별탈 없이 계속 클릭하시면 됩니다.
15. 계속 클릭
16. 살고 계신 지역인 한국의 수도로 선택
17. 한국어에서 한국어(101/104 호환) 선택
18. 계정 생성
19. 설치가 진행됩니다.
20. 설치가 완료되면 '지금 다시시작'을 눌러주시면 됩니다.
USB는 빼주세요.
아래처럼 재시작 되면
Try 뭐시기였던게 Ubuntu로 바뀌어 있습니다.
Ubuntu 엔터 !
다음 화면처럼 초기 로그인 창이 뜨면서 Ubuntu가 구동됩니다.
여기까지가 윈도우 10에서 우분투 듀얼부팅하기입니다.
맨 처음 우분투를 설치했을 때가 넷북을 쓰던 시절이었습니다.
그땐 별로 어렵지 않게 했던 것 같은데,
패스트 부팅이다 시큐어 부팅이다 뭐다 해서
좀 번거로웠지만, 잘 따라하시면 큰 문제 없을 것 같습니다.
질문이 필요하시면 Disqus나 일반 질문으로 해주시면 됩니다.
'CSE > Ubuntu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Ubuntu] 안드로이드 빌드 환경 구축하기 ! (0) 2016.01.11 [Ubuntu] 윈도우 10에서 우분투 듀얼부팅 하기(멀티부팅) - 1 (0) 2016.01.09 [Ubuntu] 윈도우에서 우분투 설치 USB 만들기 (0) 2016.01.09 [Ubuntu] 우분투에서 카톡 하기 ! - Kakaotalk (0) 2015.08.10 [Ubuntu] 우분투 맥 테마 적용하기! (Mac OS Theme) (0) 2015.06.21